본문 바로가기

대한민국 전체 대학

대한민국 전체 대학 성균관대학교 학과 및 전공 소개 총정리

반응형

성균관대학교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위치한

인문사회 중심의 ‘서울캠퍼스’와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에 위치한

자연과학 및 공학 중심의 ‘자연과학캠퍼스’로 구성된 명문 사립 종합대학교다.

삼성그룹이 발전 재단을 맡은 이래,

성균관대는 ‘실용학문 중심의 글로벌 리더 양성’이라는

목표 아래 국내외 교육계에서 빠르게 입지를 넓히고 있다.

특히 경영, 반도체공학, 글로벌리더학부 등 특성화된 학과와

실무형 교육, 산업 밀착형 커리큘럼이 큰 장점으로 꼽힌다.

본 글에서는 성균관대학교의 주요 학과들을 캠퍼스별로 정리하고,

각 전공의 특성과 진로 방향, 교육 내용 등을 중심으로 자세히 소개한다.

 

성균관대학교
성균관대학교

 

🏫 캠퍼스 및 학부 체계 개요

성균관대학교는 크게 두 개의 캠퍼스로 구성되어 있다:

캠퍼스주요 계열위치
서울캠퍼스 인문, 사회, 경영, 법, 예술 서울 종로구 명륜동
자연과학캠퍼스 공학, 자연과학, 의학, 생명, 컴퓨터 경기 수원시 장안구
 

학생들은 캠퍼스별로 전공을 선택하지만, 일부 융합 전공과 학점 교류 제도를 통해 두 캠퍼스를 넘나드는 학업 설계도 가능하다.

 

 

📚 서울캠퍼스 : 인문·사회·경영·예술계열

국어국문학과

고전문학, 현대문학, 언어학, 한문학 등 다양한 한국어 관련 학문을 체계적으로 다룬다.

창작, 교육, 출판, 미디어 분야로 진출이 활발하며, 인문학적 사고력을 길러주는 중심 학과 중 하나다.

영어영문학과

영미 문학과 영어학을 기반으로 문화·언어·철학을 융합해 배운다.

영어 능력 향상은 물론, 국제 감각을 바탕으로 외교, 통번역, 글로벌 기업 취업에 유리하다.

글로벌리더학부 (GLS)

전 과목이 영어로 진행되며, 정치, 경제, 문화, 외교 등

글로벌 이슈를 통합적으로 학습하는 융합 인문학과이다.

해외 대학과의 복수학위제, 교환학생 프로그램이 매우 활발하며,

UN, 외교부, 국제기구 등으로 진출하는 학생들이 많다.

정치외교학과

정치학과 외교학을 함께 배우며, 국내외 정치 구조, 국제질서, 외교 정책 등을

이론과 사례를 통해 학습한다. 행정고시, 외무고시, 언론사, 정책 연구소 등 진출 폭이 넓다.

사회학과

사회 현상과 구조를 이론적으로 분석하며, 계층, 젠더, 도시, 환경, 노동 등의 이슈를 다룬다.

여론조사기관, NGO, 공공기관, 마케팅 리서치 회사 등에서 수요가 많다.

경영학과

국내 상위권 경영학과 중 하나로,

마케팅, 재무, 회계, 조직, 전략 등 기업 경영의 전반을 실무 중심으로 학습한다.

삼성그룹과의 연계가 매우 강하며, 글로벌 기업과 컨설팅펌 진출이 활발하다.

 

대표 커리큘럼: 조직행동론, 마케팅원론, 재무관리, 경영전략, 회계원리 등

소비자가족학과

소비자 행동, 소비자 보호 정책, 가족복지 등의 분야를 학문적으로 접근한다.

공공 정책, 소비자 단체, 복지 행정기관, 유통기업에서 실무 적용 가능하다.

연기예술학과

연기, 무대연출, 뮤지컬, 연극 이론과 실습을 겸비한 예술 중심 학과이다.

실제 공연 활동이 많고, 많은 배우와 제작자가 이 학과 출신이다.

 

 

🔬 자연과학캠퍼스: 공학·자연과학·의학 계열

반도체시스템공학과

삼성전자와 협약을 통해 운영되는 특성화 학과로,

반도체 설계, 공정, 재료, 패키징 등을 이론과 실습으로 종합적으로 배운다.

졸업 후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산업 핵심 기업으로의 진출률이 매우 높다.

 

대표 커리큘럼: 반도체 소자공학, CMOS 설계, 집적회로 실험, 패키징 기술 등

전자전기공학부

회로설계, 통신, 신호처리, 전자기학, 전력전자 등

전기전자 기술 전반을 아우르며, 로봇, 자율주행, 반도체, 통신기술 등으로 응용이 가능하다.

컴퓨터공학과

프로그래밍, 인공지능, 머신러닝, 빅데이터, 운영체제, 알고리즘 등 컴퓨터 기술의 핵심을 심화 학습한다.

네이버, 카카오, 삼성리서치, 구글코리아 등으로 진출이 활발하다.

화학공학/고분자공학부

화학공정, 재료공학, 에너지소재, 고분자소재 등을 중심으로 실험 중심 교육을 수행한다.

반도체, 석유화학, 배터리 산업에서 수요가 매우 높다.

기계공학부

열역학, 유체역학, 재료역학, 기계설계, 자동제어 등 기계 시스템의 핵심 기술을 교육한다.

제조업, 항공, 자동차, 국방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바이오메카트로닉스학과

기계·전자공학과 생명공학을 융합한 미래지향적 전공으로,

의료기기, 바이오센서, 웨어러블 기술 개발을 중심으로 한다. 창의적 설계와 융합 기술 교육이 특징이다.

 

 

🩺 의학 및 생명과학 계열

의예과

2년간의 기초 교육 후 의과대학 본과로 진입하여

임상의학, 병리학, 내외과 등 실제 의료 실습을 중심으로 학습한다.

성균관대 의대는 삼성서울병원과 연계되어 국내 최상위권 의학 교육을 제공한다.

글로벌바이오메디컬공학과

의료공학과 생명공학을 결합한 융합학과로, 인공장기, 조직공학, 생체소재, 나노의료기술 등을 다룬다.

생명과학 기반의 엔지니어링을 원하는 학생들에게 적합하다.

 

 

✅ 성균관대학교 학과 선택 시 유의할 점

삼성 재단 연계
삼성과의 인턴십, 장학금, 채용 연계 프로그램이 잘 구축되어 있어 실무 진출에 강점을 가진다.

전공 간 유연한 이동
복수전공, 연계전공, 융합전공 시스템이 활발해 인문+공학, 경영+AI 등 유연한 학업 설계가 가능하다.

영어강의 비율이 높음
다수의 전공 과목이 영어로 진행되어, 유학이나 글로벌 커리어에 유리하다.

글로벌 인프라
세계 100여 개 이상의 해외 대학과 교류 협정이 맺어져 있어, 교환학생, 복수학위 프로그램 등이 활성화되어 있다.

 

마무리

성균관대학교는 전통과 첨단이 공존하는 대한민국 대표 사립 명문대학이다.

서울과 수원의 이원화 캠퍼스를 바탕으로,

인문·사회, 공학·자연과학, 의학, 예체능 등 다양한 계열에서 균형 잡힌 교육을 제공한다.

삼성 재단의 든든한 후원 아래 실무형 커리큘럼과 글로벌 감각을 갖춘 전공 설계가 가능하며,

국내외 기업 및 연구기관으로의 진출률도 높은 편이다.

성균관대 진학을 고민하는 수험생이라면,

단순한 입결보다 각 전공의 강점, 산업 연계성, 커리큘럼 구성 등을 충분히 비교한 후,

자신의 진로와 맞는 방향으로 학과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형